HOME > 정보센터 > 관련뉴스

: -1

: 관리자 : 2019년 4월 19일 (금), 오후 9:00

[귀농귀촌을 묻다] ⑧ 현지 주민과의 이해·화합이 안착의 관건
    농촌사회 이해 돕는 사전교육 시급…"지원대책 과대포장 말아야"
    귀농갈등
    귀농갈등
    [연합뉴스 자료사진]

    (무안=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지난해 8월 경북 봉화마을에서 70대 귀농인 김모 씨가 공무원 2명에게 엽총을 쏴 숨지게 한 참담한 사건이 벌어졌다.

    사건이 있기 4년 전에 귀농했던 김 씨는 이웃 주민과의 갈등과 민원처리에 불만을 품고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엽총 사건은 타지 사람과 지역 원주민과 사이에서 발생한 갈등을 슬기롭게 해소하지 못하고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은 대표적인 사례로 받아들여 진다.

    귀농인에 대한 지역주민의 텃세도 비일비재하고, 드러나지 않고 곪아가는 지역민과의 갈등도 귀농귀촌 인구 못지않다는 것이다.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와 생태적 삶의 가치 선호 등으로 도시를 떠나는 귀농 귀어 귀촌인은 해마다 늘고 있다.

    2017년 말 현재 전국의 귀농어귀촌 인구는 51만8천명에 달하고, 해마다 수만 명이 전국 각지에서 귀농어귀촌을 시작하고 그 이상의 도시인구가 이를 꿈꾸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해 11~12월 농업인 1천259명과 도시민 1천500명 등을 대상으로 한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에서도 도시민의 31.3%는 은퇴 후 귀농·귀촌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귀농귀촌에 대한 평가는 농업인들 사이에서도 긍정과 부정이 갈린다.

    긍정적인 면에서는 '농어촌 마을의 인구와 활력 유지'(55.4%)를 들었지만 '자기주장을 너무 내세워 기존 주민과 갈등을 일으킨다'는 부정적인 답도 26.5%에 달했다.

    '기존 주민과 격리된 생활로 위화감을 조성한다'(21.6%), '귀농·귀촌인의 불필요한 민원 증가'(21.3%)라는 의견도 나왔다.

    귀농귀촌인 입장에서도 비슷한 반응이 나온다.

    지난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전국 귀농·귀촌인 정착실태 장기 추적조사에서 응답자(복수) 637명 가운데 29.7%가 마을 사람과 인간관계 문제, 23.3%는 마을 관행 때문에 마찰 등으로 생활이 곤란하다고 했다.

    귀농갈등
    귀농갈등[연합뉴스 자료사진]

    전남도가 귀농귀어귀촌인과 해당 지역주민을 상대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비슷한 문제들이 드러났다.

    진입장벽이 높거나 이주 후 지역민과의 갈등으로 지역공동체가 와해하는 위기를 겪기도 하고 일부 귀농인은 도시로 '유턴'하는 사례도 나왔다.

    이들이 겪는 문제나 갈등 원인은 크게 4가지로 ▲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충돌 ▲ 귀농귀어귀촌인에 대한 선입견이나 텃세 ▲ 마을 일이나 모임 참여 문제 ▲ 집이나 토지 문제 등이다.

    이 같은 지역주민과의 갈등 해소가 성공적인 귀농귀촌 안착의 첫걸음이라는 사실이 확인되는 셈이다.

    현재까지는 귀농귀촌인들이 지역주민에게 다가가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했지만 이제는 교육과 프로그램으로 시스템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골을 택한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정책도 일자리와 소득지원(16%), 농사교육과 컨설팅(13%)보다도 현지 주민과의 화합(27%)을 더 많이 원한다는 조사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기존 귀농귀촌 지원대책은 창업 주택자금 융자나 영어농 정착금 등 귀농귀촌인 개인에 중점을 두고 있어 지역민과의 상생 협력에는 아직 관심이 낮다.

    최근에야 일부 지자체가 갈등관리 해소 대책을 조금씩 내놓고 있지만 아직은 미미하다.

    충북 단양군은 국민디자인단을, 강원 홍천군은 현장전담팀과 갈등관리위원회를 만들어 갈등 해소에 나서고 있다.

    전남도도 지역민과 귀농귀촌인간의 상생협력 사업 발굴에 관심을 기울인다.

    귀농귀촌 어울림 마을을 선정해 지역주민과 귀농귀촌인이 함께 제안한 사업을 지원해 지역역량을 강화하고 마을환경 개선, 소득 증대로 이어지도록 하는 선순환이 그것이다.

    주경천 전남도 귀농귀촌팀장은 "원주민과 귀농귀촌인이 화합 상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한다"며 "올해부터 2023년까지 150개 마을을 선정해 1곳당 2억원 이내 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고 소개했다.

    청년, 귀농·귀촌을 그리다
    청년, 귀농·귀촌을 그리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하지만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귀농귀촌인들이 농어촌사회에 이해를 키우는 교육과 갈등 중재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중앙 광역단위 교육에서는 농어촌사회에 대한 개론적인 교육을, 시군단위 교육에서는 귀농귀촌 지역에 대한 특화 교육을 시행하자는 제안이다

    박대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현재 농어업 기술교육 위주로만 진행되는 귀농귀촌 준비 과정에 농어촌 사회를 제대로 이해하도록 돕는 심화 특화 교육이 시급하다"며 "이들에 대한 이해 없이는 귀농귀촌의 안착도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또 "누구에게 더 많이 준다는 귀농귀촌인 지원대책에 대한 잘못된 오해도 갈등의 불씨처럼 작용하기도 한다"며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지원대책을 설명하고 원주민과 귀농귀촌인들이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도와야 한다"고 조언했다.

    bett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9/04/19 07:00 송고

    첨부파일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