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보센터 > 관련뉴스

: 590

: 관리자 : 2021년 2월 24일 (수), 오전 12:00

귀농 5년차 가구 연 3천660만원 번다…생활비는 월 184만원

농식품부 실태조사…귀농 가구 75% "지역 주민과 관계 좋아"
                   
a25.png
귀농자 대상 영농 교육[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도시에서 살다가 시골로 내려가 농사를 짓는 사람은 귀농 5년 차에 평균 3천660만원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4일 발표한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귀농 5년 차 가구의 연 소득은 평균 3천66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귀농 전 평균 소득(4천184만원)의 87.5%에 해당한다.


귀농 1년 차 가구 소득은 2천782만원이었다. 귀농 이후 서서히 소득을 늘려 5년차에는 귀농 전 소득의 대략 90% 수준에 도달한다는 얘기다.


귀농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184만원으로, 귀농 전(269만원)의 68.4% 수준이었다.


귀농 준비에 걸린 시간은 평균 25.8개월로, 한 해 전 조사(25.1개월)보다 소폭 늘었다. 귀농 준비 활동은 정착 지역 탐색(42.2%), 주거·농지 탐색(29.3%), 귀농 교육(12.2%), 자금 조달(11.5%), 귀농 체험(1.7%) 등이었다.


귀농 교육 이수 여부는 농업 소득(영농 활동으로 발생한 소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 교육을 받은 경우 귀농 5년 차 소득은 2천988만원이었지만, 교육을 안 받은 경우 1천277만원에 그쳤다.


귀농 가구가 재배하는 주 소득 작물은 과수(22.5%)가 가장 많았고 논벼(21.9%), 노지 채소(20.2%), 시설 채소(10.7%) 등이 뒤를 이었다.


귀농 가구의 50.1%는 영농 활동 이외 경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영농 외의 경제 활동은 일반 직장 취업(26.6%), 임시직(21.3%), 자영업(19.1%)의 순이었다.


귀농 이후 지역 주민과 관계가 좋다는 응답 비율(74.6%)은 높은 편이었다. 관계가 좋지 않다는 응답은 2.4%였다.


지역 주민과 관계가 좋지 않다고 답한 경우 그 원인은 지역 주민의 선입견과 텃세(51.2%)가 가장 많았고 생활 방식에 대한 이해 충돌(17.2%), 집·토지 문제(12.5%), 영농 방식의 차이(7.0%), 마을 일이나 모임 참여(2.4%) 등이 뒤를 이었다.


귀농 생활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62.1%였다. 불만족일 경우 그 이유로는 영농 기술·경험 부족(33.6%)과 자금 부족(31.2%)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귀농 가구 중에서는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로 이주해 살다가 고향 등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돌아간 'U형' 귀농이 57.6%를 차지했다.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연령에 본격적으로 접어들면서 U형 귀농이 증가 추세라는 게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해 10∼12월 귀농·귀촌 가구 4천66가구를 대상으로 한국갤럽의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귀촌 가구는 도시에서 농촌으로 주소지를 옮긴 사람 가운데 농업에 종사하지는 않는 가구를 가리킨다. 귀촌 가구의 5년 차 평균 소득은 3천624만원이었고 월평균 생활비는 205만원이었다.


    ljglory@yna.co.kr
(끝) 

첨부파일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