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보센터 > 관련뉴스

: 803

: 관리자 : 2023년 2월 16일 (목), 오전 12:00

'인구소멸은 안돼'…전국서 귀농·귀촌인 모시기 경쟁 '후끈'

청년 농업인 맞춤 지원·농촌 살아보기 마을 조성 등 유인책 다채

"의료 등 정주여건 지속 개선해야…'농업' 너머로 이주 대상층 확대 필요"

지난해 8월 코엑스에서 열린 귀농귀촌체험학습박람회
지난해 8월 코엑스에서 열린 귀농귀촌체험학습박람회

[연합뉴스 자료사진]

(전국종합=연합뉴스) 지난 2021년 한해 37만7천744가구가 도시에서 농촌으로 주거지를 옮겼다.

귀농·귀촌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많은 것이다. 코로나19 여파와 도시주택 가격 상승, 농어촌으로 향하는 관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이런 추세에 맞춰 귀농·귀촌 인구를 적극적으로 유치해 인구소멸 위기를 돌파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의 경쟁도 치열하다.

◇ 청년 농업인 지원·농촌에서 살아보기 등 활발

16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는 귀농·귀촌 유도 노력과 관련해 '청년 농업인'에 집중하고 있다.

적극적인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해 서산 간척지에 2025년까지 436억원을 들여 대규모 스마트팜 영농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초기 투자 비용과 농업 진입 장벽을 낮춰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영농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영농단지 입주 청년 농업인에게는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보금자리주택도 마련해주기로 했다.

농촌 장기체류형 체험·교육도 강화하는 추세다.

지난해 6월 aT센터에서 열린 성공귀농 행복귀촌 박람회
지난해 6월 aT센터에서 열린 성공귀농 행복귀촌 박람회

[연합뉴스 자료사진]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농촌에서 살아보기'를 전국 102개 시군의 약 130개 마을에서 운영해 도시민 900가구에 체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지난해는 95개 시·군 119개 마을에서 도시민 882가구가 참여했다. 이 가운데 125가구(14.2%)가 농촌으로 이주하는 결실을 봤다.

충북 보은군은 도시민을 위한 '1년 살아보기' 마을 조성에 나서며 귀농·귀촌 인구 유입을 기대하고 있다. 2025년 3월까지 65억원을 투자해 59㎡형, 85㎡형의 '어울림 하우스' 각각 10가구와 주민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200㎡ 규모의 커뮤니티센터를 건설한다.

귀농·귀촌 관련 컨설팅도 활발하다.

강원도는 올해 도비 9천300만원을 마련해 강원대 농촌융복합센터에 귀농귀촌 컨설팅과 농업인 교육을 의뢰하기로 했다.

이 센터는 귀농·귀촌뿐 아니라 6차산업 인증 등을 전문적으로 시행하는 기관으로, 귀농·귀촌 시 주민 간 갈등을 해소하고 융합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양구군은 귀농·귀촌인들의 소득 안정과 정착률 향상을 위해 국토정중앙면 청리에 265㎡의 규모로 친환경농업 홍보관을 건립해 오는 6월 운영을 시작한다.

2024년에는 양구읍 학조리에 체류형 주택단지, 공동실습용 비닐하우스, 교육장 및 창고, 쉼터 등 공동체 기반 시설을 조성해 안정적인 정착을 도울 계획이다.

경남 밀양시는 올해부터 귀농·귀촌하는 가정에 '웰컴박스'를 선물한다.

지역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모은 가이드북, 청정 농산물 꾸러미가 담긴 박스를 귀농·귀촌 가정에 전달한다.

밀양시는 또 농기계·시설하우스 기자재·묘목 구입비를 시비로 지원한다.

그밖에 많은 지자체에서 농업 창업·주택구매 비용 등을 지원하며 인구 유입 유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연합뉴스·농협 주최 귀농귀촌 청년창업 박람회
지난해 연합뉴스·농협 주최 귀농귀촌 청년창업 박람회

[연합뉴스 자료사진]

◇ "의료·문화 등 농촌 정주기반 개선해야"

귀농·귀촌 증가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농촌 정주기반을 갖춰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21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귀농·귀촌 인구가 농촌에 정착하려면 주택, 교육, 의료, 복지, 문화 등 측면에서 농촌의 여건을 지속해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연령, 세대별로 차별적인 농촌 수요를 고려해 세대 맞춤형 정책으로 확장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관련 정책 대부분이 '귀농'이나 '농업'에 편중된 만큼 정책 대상을 '귀촌'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유학열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퇴 후 휴양하려고, 농촌 생활이 좋아서 또는 농업 외 일자리를 농촌에서 찾는 귀촌인이 앞으로 많아질 것"이라며 "사회적 경제라는 테두리 안에서 농촌 특색이 있는 일자리를 만드는 등 귀촌 분야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계인구' 차원에서 정책 접근을 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유 연구위원은 "주소를 옮겨서 이주하지 않더라도 분명히 농촌사회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사람들이 많다"며 "이를 관계인구라고 하는데, 결과적으로 이런 인구층을 확대하는 것도 귀농·귀촌을 유도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우성 양지웅 김도윤 허광무 이승형 고성식 김동철 전승현 김동민 전창해 윤태현 김소연 기자)

첨부파일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