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보센터 > 관련뉴스

: 878

: 관리자 : 10월 1일 (일), 오전 12:00

충북도, 스마트농업 육성으로 농촌 새 활로 찾는다

충북도, 스마트농업 육성으로 농촌 새 활로 찾는다

송고시간2023-10-01 09:02

 
beta
 
  
 

2028년까지 공공 스마트팜 14곳 조성 목표…민간도 지원

(청주=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충북도가 지역형 스마트농업 육성을 통해 농촌의 새 활로를 찾는다.

스마트팜 농장
스마트팜 농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1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도내 농가 수는 11만8천188가구로 전국(181만1천377가구) 대비 6.5%에 그친다.

도내 경작지 면적 역시 전국(149만4천707㏊) 대비 6%(9만696㏊)에 불과하다.

도는 이처럼 부족한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정보통신기술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스마트농업으로의 변화를 꾀한다.

고령화 등 농촌의 고질적인 문제를 극복하면서 생산성을 높이려면 스마트농업 육성이 필수적이라는 게 도의 판단이다.

이를 위해 장비를 통한 최적의 환경제어로 생산성을 높이는 공공부문 스마트팜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올해 괴산군 불정면에 53㏊ 규모의 노지콩 스마트농업시범단지를 조성한 데 이어 칠성면에는 오는 2025년까지 괴산 K-유기농스마트농업단지를 만든다.

74㏊ 규모로 조성될 K-유기농 단지에서는 고추·배추·양파·양배추·브로콜리 등을 생산할 예정이다.

제천에는 지역특화임대형 스마트팜(6.1㏊)과 바이오첨단농업 복합단지(17.5㏊)를 조성 중이다.

아울러 2028년까지 영동 3곳, 보은 2곳, 청주·진천·증평·옥천·단양 각 1곳 등 총 10곳에 스마트팜 추가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지자체 중심의 공공분문 외에 민간 스마트팜 육성도 지원한다.

스마트팜 조성을 희망하는 농가 수요조사를 한 뒤 교육, 시설, 컨설팅 지원을 하는 한편 스마트팜 모델 보급을 통한 '1억 농부' 육성을 추진한다.

또 내년 1∼10월 '충북 스마트농업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통해 국내외 스마트농업 현황을 분석하고, 충북형 스마트팜 육성 및 농업 세계화 방안을 강구한다.

이밖에 스마트팜 조성에 필요한 예산 마련을 위해 '농어촌개발기금' 운영안을 개선하고,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을 위한 국비 확보에도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정부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충북형 스마트농업 발전 기반을 체계적으로 갖출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jeonch@yna.co.kr

첨부파일
목록으로